- VTP는 현재 거의 사용하지 않는 프로토콜로 개인적으로 자세한 학습은 필요 없다고 판단되며 필자도 자료 정리만 진행
1. Introduction to VTP(VLAN Trunking Protocol)
1) Introduction to VTP
- Trunk로 연결된 스위치끼리 VLAN DB를 동기화하는 프로토콜
- VTP 정보는 Broadcast Domain 내에서 전송 가능
- VTP 비활성화가 없는 장비에서 VTP 미사용 시, VTP Mode를 Transparent로 설정
- Revision Number 만으로 VLAN을 동기화
- VTP Mode를 'Transparent → Server'로 변경 시, Revision Number 초기화
2) VTP 사용 조건
- VTP Domain 동일
- 스위치 간에 Trunk Mode로 연결
- VTP Password 설정 시 Password 동일
2. VTP Mode
1) Server
- VLAN 생성, 수정, 삭제 가능
- 기본 VTP Mode이며 VNRAM 안에 VLAN DB를 vlan.dat 파일로 저장
- Forwarding, Send 가능
- Forwarding : 수신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
- Send : 자신이 만든 것을 전송하는 것
2) Client
- Server에게 수신한 정보를 동기화시키며 다른 스위치로 전송
- VLAN 생성, 수정, 삭제 불가능
- NVRAM에 미저장
- 재부팅 시, 정보가 없어지고 다시 동기화
3) Transparent
- 독립된 영역을 만들 때 사용
- 다른 스위치한테 수신한 정보를 동기화 시키지 않고 다른 스위치로 전송
- VLAN 생성, 수정, 삭제 가능
- VLAN 정보를 NVRAM에 vlan.dat 파일로 저장
- Forwarding은 가능하지만 Send는 불가능
3. VTP Message
1) Summary Advertisement
- VTP Server가 자신과 연결된 스위치로 5분 주기로 전달
- VLAN 구성 변화 시 즉시 전송
- 자신이 관리하는 VTP Domain에 대한 Revision Number를 전송
- 각 스위치는 수신한 Revision Number로 자신의 VLAN 정보가 최신인지 구분
2) Subset Advertisement
- VLAN 구성이 변경되었거나 Client에게 Advertisement Request를 수신했을 때 전송
- 실제 VLAN 정보 보유
3) Advertisement Request
- Client가 Server에게 Summary Advertisement나 Subset Advertisement를 요청할 때 사용
- Client가 가지고 있는 Revision Number보다 높은 Summary Advertisement를 수신하거나 스위치에 변화가 생겼을 때 Server로 전송
4. VTP Pruning
- 불필요한 트래픽들이 Trunk Link에서 자동으로 차단해 주는 기능
5. VTP 동작
- 각 스위치에 VTP를 설정
- Server가 Client와 Transparent에게 Domain과 Revision Number 정보가 있는 Summary Advertisement를 전송
- Summary Advertisement를 수신한 Client는 Server와 동일하게 변경
- Client는 수신한 Revision Number를 비교하여 자신의 Revision Number보다 높을 경우 VLAN 정보를 업데이트
- Client는 Server로 Advertisement Request를 전송
- Advertisement Request를 수신한 Server는 Client로 Summary Advertisement와 Subset Advertisement를 전송
- Client는 수신하고 Server와 동일하게 VLAN 정보를 동기화(Sync)
- Transparent도 Server로부터 Summary Advertisement를 수신
- Transparent는 Server로부터 받은 정보를 자신의 VLAN 정보에 미반영
- Transparent가 VLAN 정보 변경이 있어도 VLAN 정보 미전송
- VTP가 동작하는 스위치로부터 받은 정보를 다른 스위치로 Forwarding
'Network > VL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VLAN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01.11 |
---|---|
Native VLAN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01.09 |
Trunk Mode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01.07 |
Access Mode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01.05 |
L3 Interface(SVI vs Routed Port) (0) | 2025.01.01 |
Inter-VLAN (0) | 2024.12.30 |
Native VLAN 동작 과정 (1) | 2024.12.28 |
Trunk Mode 동작 과정 (0)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