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3 Interface Type
1)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 Switch Process(Switching)를 포함한 Virtual Interface
- 일반적으로 Switching만 하는 장비에는 관리적인 목적으로 사용
- 일반적으로 Routing을 하는 장비에는 게이트웨이 목적으로 사용
2) Routed Port
- Switch Process(Switching)을 제거한 Physical Interface
2.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1) SVI Logical Structure
- 논리적으로 라우터와 각 VLAN 별로 존재하는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
- 가상 라우터는 가상 스위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인 SVI를 생성
- 동일 VLAN 간에 통신은 가상 스위치에서 처리
- 다른 VLAN 간에 통신은 가상 라우터에서 처리
- Access Mode VLAN 10으로 설정된 물리적 포트는 VLAN 10을 가진 가상 스위치에 연결
- Access Mode VLAN 20으로 설정된 물리적 포트는 VLAN 20을 가진 가상 스위치에 연결
- Trunk Mode로 설정된 물리적 포트는 해당되는 모든 가상 스위치에 연결
- 물리적 포트 Down 시,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가상 스위치의 포트 제거
- VLAN 10에 해당하는 논리적 포트가 모두 Down되면 VLAN 10에 해당하는 가상 스위치는 L3 기능이 필요하지 않아 SVI를 Down으로 변경
2) SVI가 Down 되는 조건
- 해당 VLAN에 할당되어 있는 모든 물리적 포트가 Down or Block인 상태
- Ex) 'show spanning-tree vlan 1'에서 Forwarding Port가 없으면 VLAN 1에 대한 SVI Down
- 'Auto-State' 기능 Disable
- 'Auto-State'가 Enable일 경우, SVI가 항상 Up으로 구성
- Auto-State : 물리적인 Interface가 Down 되었을 때 SVI가 확인 가능
3) VRRP를 SVI에 설정 시 주의할 점
- Active로 된 인터페이스가 Down되어도 Trunk 인터페이스가 Up이므로 스위치는 SVI를 Up으로 유지하여 SVI는 Active를 유지
- 해결 방법
- Physical Interface에 Track을 사용하여 특정 포트 Down 시, Priority 값을 감소
- SVI가 아닌 Routed Port로 구성
3. Routed Port
1) Routed Port Logical Structure
- 물리적 포트에 'no switchport'를 적용하여 Routed Port로 구성
- Routed Port로 동작하는 물리적 포트 Down 시, 가상 라우터와 연결도 Down
'Network > VL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ive VLAN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01.09 |
---|---|
Trunk Mode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01.07 |
Access Mode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01.05 |
VTP(VLAN Trunking Protocol) (0) | 2025.01.03 |
Inter-VLAN (0) | 2024.12.30 |
Native VLAN 동작 과정 (1) | 2024.12.28 |
Trunk Mode 동작 과정 (0) | 2024.12.26 |
Access Mode 동작 과정 (1)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