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duction to Inter-VLAN
1) Introduction to Inter-VLAN
- 서로 다른 VLAN 간에 라우팅을 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기술
- Cisco IOS 라우터는 기본적으로 물리적 Interface는 VLAN을 인식하지 못해 VLAN Tag가 있는 Frame을 Drop
2) Cisco Sub-Interface의 사용 목적
- 하나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논리적으로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로 분리
- Sub-Interface는 VLAN을 인식할 수 있어 VLAN Tag가 있는 Frame 처리 가능
2. Inter-VLAN 필요성
1) Inter-VLAN 필요성
- PC1→PC2 ICMP Request 전송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없으므로 Frame의 Tag를 제거하지 못하여 PC2향 포트로 Export 불가
3. Inter-VLAN 동작 과정 및 한계
1) Inter-VLAN 동작 과정
- PC1→PC2 ICMP Request 전송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R1은 D-MAC이 본인임을 확인하고 TPID가 VLAN임을 확인하고 VLAN 10번 Tag가 Sub-Interface에 설정한 값과 동일함을 확인하고 EtherType이 IP임을 확인하고 D-IP가 ICMP Request를 수신한 Sub-Interface IP가 아님을 확인하고 라우팅 테이블에서 Longest Match Rule에 의해 매칭되는 Entry가 있으며 Next-Hop이 유효한 것을 확인
- TTL 1을 감소하고 0이 아님을 확인하고 Sub-Interface에 설정된 VLAN 20번 Tag를 붙이고 ARP Table에서 D-IP에 해당하는 MAC Address를 붙여 Direct Next-Hop(OIF)로 전송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2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 PC2→PC1 ICMP Reply 시, 위와 동일한 동작을 진행
2) Inter-VLAN의 한계
- 서로 다른 VLAN 간에 통신할 때, 모든 트래픽은 라우터를 통해야 통신이 가능하므로 스위치와 라우터 사이에 병목 현상 발생 가능
- 스위치와 라우터를 하나의 장비로 합치면 케이블이 아닌, 시스템 내부에서 버스 구조로 통신하여 고속 처리 가능
- 요즘 장비는 SVI로 설정하여 케이블이 아닌 시스템 내부에서 버스 구조로 통신 가능
'Network > VL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unk Mode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01.07 |
---|---|
Access Mode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01.05 |
VTP(VLAN Trunking Protocol) (0) | 2025.01.03 |
L3 Interface(SVI vs Routed Port) (0) | 2025.01.01 |
Native VLAN 동작 과정 (1) | 2024.12.28 |
Trunk Mode 동작 과정 (0) | 2024.12.26 |
Access Mode 동작 과정 (1) | 2024.12.24 |
Introduction to VLAN and Header (0) | 202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