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duction to OSI 7 Layer and TCP/IP
1) OSI 7 Layer 및 TCP/IP
TCP/IP | OSI 7 Layer |
IETF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에서 정의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
IOS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정의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4계층으로 구분 | 7계층으로 구분 |
보통 프로토콜에 해당 | 보통 교육 등 참조용 |
2) 계층적 구조의 장점
- TS(Trouble Shooting) 용이
- 일반적으로 낮은 계층부터 장애 처리
- 데이터의 흐름 이해
- 통신에 대한 시각적 이해가 가능
- 하위 계층에 문제가 있으면 상위 계층이 동작 불가
2. Introduction to Encapsulation and De-Encapsulation
1) Introduction to Encapsulation and De-Encapsulation
- Encapsulation : 데이터를 송신할 때 각 계층에 맞는 Header를 추가하는 과정
- De-Encapsulation : 데이터를 수신할 때 각 계층에 맞는 Header를 제거하는 과정
3. OSI 7 Layer 기준 계층별 특징
1) Physical Layer(1 계층)
- 물리적 매체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전송
- 데이터 단위 : Bit
- 장비 : Cable, Connector, Repeater, Hub
2) Data Link Layer(2 계층)
- 데이터 전달 방식을 결정
- Ethernet에서는 LLC 및 MAC 계층으로 구성
- LLC Layer(802.2) : 3 계층과 연결 (Packet → Frame으로 변경)
- MAC Layer(802.3) : 1 계층과 연결 (Frame → Bit로 변경)
- 데이터 단위 : Frame
- 장비 : Bridge, L2 Switch
- 주소 : MAC(Ethernet), DLCI(Frame-Relay)
3) Network Layer(3 계층)
- 데이터 통신 경로를 결정
- 데이터 단위 : Packet
- 장비 : Router, L3 Switch
- 주소 : IPv4, IPv6
4) Transport Layer(4 계층)
- 데이터 분할 및 조립
- Encapsulation 시 Segment로 만든 후 3 계층으로 이동
- 데이터 단위 : Segment(TCP), Datagram(UDP)
- 장비 : L4 Switch
- 주소 : Port
5) Session Layer(5 계층)
- Application 간 연결을 담당
- 메시지(데이터)를 4 계층으로 전송할 순서 결정
- 데이터 단위 : Message
6) Presentation Layer(6 계층)
- 데이터 압축 및 해제
- 데이터 포맷 형태(확장자)를 결정
- 데이터 단위 : Message
7) Application Layer(7 계층)
-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서비스 사용 가능
- E-Mail, Telnet, FTP 등 서비스 제공
'Network > Network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sk(Subnet Mask, Wildcard Mask) (0) | 2024.11.18 |
---|---|
IPv4 Header (0) | 2024.11.16 |
Introduction to IPv4 (0) | 2024.11.14 |
Network Interface Type (0) | 2024.11.12 |
Ethernet Header (0) | 2024.11.10 |
Introduction to Ethernet and CSMA/CD (0) | 2024.11.08 |
Circuit Switching vs Packet Switching (0) | 2024.11.04 |
Network Basic Terminology (0) | 2024.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