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etwork / Internet
1) Network
- 통신이 가능한 두 대 이상의 장비가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이 가능한 환경
2) Internet
- 수많은 여러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한 환경
2. Simplex / Duplex
1) Simplex
- 송신 또는 수신만 가능(단방향 통신)
- Ex) TV, 라디오 등
2) Duplex
- 송수신 가능(양방향 통신)
- Half Duplex : 송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송수신이 불가능
- 옛날 전송장비(MSPP 등)들은 기본적으로 Half Duplex로 동작할 수 있으니 주의 필요
- Ex) 무전기
- Full Duplex : 송수신이 가능하며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
- 요즘 네트워크 장비들은 기본적으로 Full Duplex로 동작
- Ex) 전화기
3. Broadcast Domain / Collision Domain
1) Broadcast Domain
- D-MAC이 Broadcast 일 때 Frame이 도달할 수 있는 영역
- 동일 Broadcast Domain = 동일 Network Address = 동일 IP 대역 = 동일 Gateway = 동일 Network
2) Collision Domain
- Ethernet 환경에서 Collision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
- L2 스위치는 Collision Domain 분리 가능
- 단, 포트가 Full Duplex이어야 Collision Domain 분리 가능
- Hub는 Collision Domain 분리 불가능
- Hub는 모든 포트가 Half Duplex로 동작하므로 Collision Domain 분리 불가능
4. Other
1) Gateway
- 다른 네트워크로 가기 위해 지나야 하는 곳
- 사용자가 Gateway를 입력하지 않으면 같은 IP 대역 안에서만 통신 가능
2) Bit Rate(전송속도)
- 1초 동안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옮겨진 데이터의 양(속도)을 의미
- 단위는 bps를 가장 많이 사용
- 필요에 따라 cps, 초당 블록 수, 초당 패킷 수, baud 등을 사용
3) Bandwidth
- 해당 포트가 1초 동안 전송하는 Bit의 양
- bps, Kbps, Mbps, Gbps 등으로 표시
4) Bit Rate / Bandwidth 차이
- 컨베이어 벨트로 제품을 제작하고 왼쪽과 오른쪽은 서로 다른 공정을 진행한다고 가정
(1) Bit Rate
- A와 B의 처리 속도가 빨라 회전율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
- B 하나라도 처리 속도가 느리면 전체적으로 전송속도가 느린 것
(2) Bandwidth
- 컨베이어 벨트의 너비를 의미
- 보통 대역폭이 크면 전송속도가 빠르지만, 아닌 상황도 존재
- 컨베이어 벨트에 반도체가 2줄로 처리가 되지만 A, B에서 1개씩 처리하면 전송속도는 동일
5) Throughput
- 1초 동안 전송하고 있는 실제 데이터의 양
- 실제 데이터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Preamble, SFD, IFG는 미포함
- Bandwidth는 Preamble, SFD, IFG가 포함
- IFG의 정확한 값은 포트의 속도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IFG를 12 Byte로 계산
- Bandwidth > Throughput
- Throughput에 Preamble, SFD, IFG가 계산되지 않기 때문
- Maximum Throughput
- 최대 MTU Size로 계산했을 때, 보낼 수 있는 실제 데이터의 양
6) RTT(Round Trip Time)
- 데이터가 목적지에 도달하고 출발지로 돌아오는 시간
- 패킷 왕복 시간
7) Delay / Latency
- Delay와 Latency는 '지연'이라는 의미를 보유하며 일반적으로 Latency와 Delay는 비슷하거나 동일한 용어로 사용
- 인터넷에서 조사한 바로는 아래와 같으며 내용이 변경될 경우, 업데이트 진행 예정
- Latency는 데이터가 출력 포트에서부터 입력 포트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 간격
- Delay는 개별 요소 중심의 지연 시간을 의미하며 Latency는 개별 요소의 Delay가 합해진 것
- Delay의 종류에는 Transmission Delay, Propagation Delay, Nodal Processing Delay, Queuing Delay 등이 존재
9) Jitter
- Latency or Delay의 일정한 정도(일반적으로 Latency의 일정한 정도를 의미)
10) Loss
-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한 것을 의미
- 경로상 문제가 없을 시, 일반적으로 Bandwidth가 부족하거나 Delay가 길어 발생
'Network > Network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sk(Subnet Mask, Wildcard Mask) (0) | 2024.11.18 |
---|---|
IPv4 Header (0) | 2024.11.16 |
Introduction to IPv4 (0) | 2024.11.14 |
Network Interface Type (0) | 2024.11.12 |
Ethernet Header (0) | 2024.11.10 |
Introduction to Ethernet and CSMA/CD (0) | 2024.11.08 |
OSI 7 Layer 및 TCP/IP (0) | 2024.11.06 |
Circuit Switching vs Packet Switching (0) | 2024.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