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duction to Ethernet
1) Introduction to Ethernet
- Ethernet 프로토콜은 'MAC'이라는 주소(식별자)를 사용
- CSMA/CD 방식을 기반으로 동작
- 버스형 토폴로지를 사용
- 장점 : 트래픽 제어 간단, 비용 저렴, 확장 용이
- 단점 : TS가 복잡, 병목현상 가능성 존재
2) MAC(Media Access Control)
- IEEE 802에 속해있는 Ethernet, Wi-Fi, Bluetooth 등에서 통신을 위한 Data-Link Layer의 주소(식별자)로 사용
- Data Link Layer 기반의 통신을 하기 위해 설계가 되었으므로 동일 Broadcast Domain 내에서만 유일하게 존재하면 통신 가능
- 6byte(48bit)로 'EUI 48'형태로 규격화되어 사용하며 16진수로 표시
- 앞 3byte : 제조사를 구분하는 역할(24bit 중 앞 8bit는 예약)
- 뒤 3byte : 제품의 일련번호 역할
3) MAC Address Format
- AABB.CCDD.EEFF
- AA:BB:CC:DD:EE:FF
- AA-BB-CC-DD-EE-FF
2. Introduction to CSMA/CD
- Ethernet의 기본적인 통신 원리
- 데이터 전송 후에 충돌을 감지하여 충돌 발생 시, 일정 시간 이후 재전송하는 방식
1) CS(Carrier Sense)
- 데이터 송신 전, 네트워크에서 다른 데이터가 송신되고 있는지 신호를 보내어 확인
- Idle State일 시, 전송 시도
- Busy State일 시, 대기
2) MA(Multiple Access)
- 'Multi-Access'라는 네트워크 환경
3) CD(Collision Detection)
- 데이터 충돌 시 모든 단말로 JAM 신호를 보내어 충돌되었음을 통보
- JAM 신호 : 32~48bit
- 충돌 발생 시 'Backoff' 시간이 약 2배씩 증가
- 충돌 발생 시, 최대 15회 재전송을 시도하며 15회째 재전송도 실패할 경우 Frame 전송을 포기
3. CSMA/CD 동작 과정
1) CSMA/CD 동작 과정
4. CSMA/CD 문제점(Ethernet Frame Minimum Size)
1) CSMA/CD 문제점(Ethernet Frame Minimum Size)
- 예전 CSMA/CD 개발 시, 문제가 발생하여 위와 같은 구성으로 정의
- 증폭기 최대 4대(신호 감쇠를 해결할 수 있지만 간섭 즉, Noise는 해결 불가)
- 케이블 최대 5개(케이블은 10 Base5를 기준으로 정하며 케이블당 최대 500m로 지정)
- CSMA/CD는 Collision 발생 시, JAM 신호를 전송하여 충돌 사실을 통보
- 실제 1번째 데이터가 충돌되었지만, 2번째 데이터 송신 후에 JAM 신호 수신 시, 2번째 데이터가 충돌된 것으로 판단
- 프레임을 송신할 때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프레임을 계속 송신해야 문제 미발생
- 위와 같은 문제 때문에 하나의 데이터가 왕복하는 시간 동안 하나의 데이터만 송신
- 'Propagation Delay'라는 개념을 사용
- Bit 1개당 다음 장비까지 가기 위한 시간
- 10Base5 기준 1㎲ 동안 200M 이동 가능
- Repeater가 신호를 증폭시켜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3㎲ 소요
- 25㎲(Cable) + 24㎲(Repeater) = 49㎲
- 10Base5 기준 49㎲ 동안 490bit 송신 가능
- 최소 Frame Size가 490bit보다 커야 해당 문제 미발생
- Cable 및 Repeater의 상태에 따라 Delay가 커질 수 있어 490bit 보다 약간 큰 값인 512bit(64byte)를 최소 Frame Size로 지정
'Network > Network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sk(Subnet Mask, Wildcard Mask) (0) | 2024.11.18 |
---|---|
IPv4 Header (0) | 2024.11.16 |
Introduction to IPv4 (0) | 2024.11.14 |
Network Interface Type (0) | 2024.11.12 |
Ethernet Header (0) | 2024.11.10 |
OSI 7 Layer 및 TCP/IP (0) | 2024.11.06 |
Circuit Switching vs Packet Switching (0) | 2024.11.04 |
Network Basic Terminology (0) | 2024.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