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duction to Circuit Switching
1) Introduction to Circuit Switching
- MSPP, WDM 등 주로 전송장비에서 Circuit Switching 방식을 사용
- 데이터를 분할하여 송신하지 않고 특정 회선 전체를 할당받아 데이터를 송신
- 특정 회선을 독점하기 때문에 속도와 성능이 거의 일정
- 비교적 Loss와 Delay 등이 적게 발생
- 대표적으로 회선을 분할하는 방식인 FDM과 TDM이 존재
2) Introduction to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주파수(대역)를 나눠서 공유하는 방식
- 여러 신호가 하나의 Link Bandwidth를 나눠 사용하여 Link Bandwidth를 여러 회선이 동시에 이용하는 방식
- 채널 간 간섭을 막기 위해 보호 대역이 필요하며 이로 인하여 채널의 이용률이 감소
3) Introduction to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 주파수를 시간 단위로 분할하여 공유하는 방식
- Link Bandwidth를 여러 회선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과정
- Bandwidth를 시간으로 나눠 채널에 할당하여 여러 채널들이 한 전송로를 나눠 사용
2. Introduction to Packet Switching
1) Introduction to Packet Switching
- I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장비는 Packet Switching 방식을 사용
- Data를 Packet 단위로 나눠 전송하는 방식
- Packet에 Header가 추가되어 송신
-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 분할 및 결합 과정이 발생
- 전송 과정에서 패킷은 Queue에서 대기하는 기능 추가
- Delay가 생기며 수용 가능한 Queue의 범위를 초과하면 Loss 발생
'Network > Network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sk(Subnet Mask, Wildcard Mask) (0) | 2024.11.18 |
---|---|
IPv4 Header (0) | 2024.11.16 |
Introduction to IPv4 (0) | 2024.11.14 |
Network Interface Type (0) | 2024.11.12 |
Ethernet Header (0) | 2024.11.10 |
Introduction to Ethernet and CSMA/CD (0) | 2024.11.08 |
OSI 7 Layer 및 TCP/IP (0) | 2024.11.06 |
Network Basic Terminology (0) | 2024.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