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duction to Trunk Mode
1) Introduction to Trunk Mode
- 하나의 포트에 다수의 VLAN Tag를 할당
- Trunk Mode인 포트로 Frame이 Im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Tag가 Frame에 존재하면 Tag를 유지
- Trunk Mode인 포트로 Frame이 Ex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Tag가 Frame에 존재하면 Tag를 유지
- Access Mode와 달리 Trunk Mode인 포트로 Frame이 Export될 때, VLAN Tag가 존재
- Trunk Mode인 포트로 Tag가 없거나 Native VLAN Tag가 있는 Frame을 처리하는 동작은 'Native VLAN 동작 과정' 글에서 설명
2. Trunk Mode 동작 과정
- Access Mode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ARP Table, FDB Table에 모든 정보가 있다고 가정
- 본 글에서는 Native VLAN을 제외하고 설명
1) 서로 다른 Switch 간 동일 VLAN 통신
- 물리적 연결 구성
- PC1→PC2 ICMP Request 전송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 PC2→PC1 ICMP Reply 시, 위와 동일한 동작을 진행
2) 서로 다른 Switch 간 다른 VLAN 통신
- 물리적 연결 구성
- PC1→PC4 ICMP Request 전송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포트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없으므로 Frame의 Tag를 제거하지 못하여 PC4향 포트로 Export 불가
'Network > VL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unk Mode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01.07 |
---|---|
Access Mode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01.05 |
VTP(VLAN Trunking Protocol) (0) | 2025.01.03 |
L3 Interface(SVI vs Routed Port) (0) | 2025.01.01 |
Inter-VLAN (0) | 2024.12.30 |
Native VLAN 동작 과정 (1) | 2024.12.28 |
Access Mode 동작 과정 (1) | 2024.12.24 |
Introduction to VLAN and Header (0) | 202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