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SPF Area Type 별 존재할 수 있는 LSA Type
| LSA type | 1 | 2 | 3 | 3(D) | 4 | 5 | 7 | 7(D) |
| normal | O | O | O | O | O | |||
| stub | O | O | O | O | ||||
| totally stub | O | O | O | |||||
| NSSA | O | O | O | O | O | |||
| totally NSSA | O | O | O | O |
- LSDB는 area 별로 따로 동작하며 관리
- NSSA에서 default-route는 LSA type 7으로 전달
2. LSA Flooding Type in OSPF Domain
1) LSA Type 1, 2 Flooding

- LSA type 1은 모든 OSPF 인터페이스에서 생성
- LSA type 2는 DR 인터페이스에서 생성
- broadcast(multi-access) 환경에서 DRother는 DR 및 BDR을 통해 LSAs를 수신
- 위 그림은 예시로 area 0에서 R4가 DR/BDR을 통해 LSAs를 송수신하는 것을 표현
2) LSA Type 3 Flooding

- ABR은 LSA type 1, type 2, type 3을 다른 area에게 advertising router 정보를 local로 변경한 LSAtype 3으로 summary하여 전달
- stub area인 area 3 내부로 LSA type 3인 default-route를 전달
- NSSA인 area 4 내부로 LSA type 7인 default-route를 전달
3) LSA Type 4, 5 Flooding

- ASBR에서 재분배하여 LSA type 5를 전달
- LSA type 5는 정보가 변경되지 않고 foreign area로 전달
- ASBR과 다른 area에 있는 라우터들은 LSA type 5를 전달하기 시작한 라우터의 위치를 모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ABR이 LSA type 4를 전달
4) LSA Type 4, 7 Flooding

- NSSA ASBR에서 재분배하여 LSA type 7을 전달
- NSSA ABR에서 다른 area로 external network 정보를 전달할 때 LSA type 7 → type 5로 변경하며 advertising router를 local로 변경하여 전달
- LSA type 5를 생성한 라우터가 있는 area는 LSA type 1 정보로 LSA type 5를 전달하기 시작한 라우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LSA type 4 미생성
'Network > OSPF' 카테고리의 다른 글
| OSPF Routing Policy (0) | 2025.11.01 |
|---|---|
| OSPF Fault Detection using BFD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10.30 |
| OSPF Virtual Link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10.28 |
| OSPF Route Summary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10.26 |
| Number of Flooding by LSA Type in OSPF domain (0) | 2025.10.22 |
| OSPF NSSA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10.20 |
| OSPF Stub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10.18 |
| OSPF Stub Area and NSSA (0) | 2025.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