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duction to LACP
1) Introduction to LACP(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
구분 | LACP | PAGP |
Standard | Standard | Cisco |
Year of Introduction | 2000(802.3ad) → 2008(802.1ax) → 2014(802.1ax) → 2020(802.1ax) |
1990s |
Multicast | 01:80:C2:00:00:02 | 01:00:0c:CC:CC:CC |
Mode | Active, Passive | Desirable, Auto |
Max member per Group | 16 | 8 |
Max Used Link per Group | 8 | 8 |
- 표준 Link Aggregation 프로토콜
- IEEE 802.3ad 표준의 하위 구성 요소
- Increases Bandwidth, Load Balancing, Link Redundancy, Provides Link Efficiency을 하는 것은 LACP가 아닌 Link Aggregation의 자체 역할
- Hashing Alogorithm을 계산하고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일반적으로 장치 간에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목적으로 사용
- 한 그룹에 최대 16개의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으며 최대 8개의 인터페이스 사용 가능
- Hashing 알고리즘 결괏값의 끝 3개의 bit로만 Load Balancing하여 최대 8개만 사용 가능
2) LAGP Mode
Mode | Active | Passive | On |
Active | Yes | Yes | No |
Passive | Yes | No | No |
On | No | No | Yes |
- Active Mode는 LACP PDU를 먼저 전송
- Passive Mode는 LACP PDU를 먼저 전송하지 않고 LACP PDU 수신 시, 전송
- On Mode는 Link Aggregation 프로토콜을 송수신하지 않고 다른 장비와 Negotiation을 하지 않으며 항상 Bundling을 생성
- 양쪽이 Passive Mode이거나 한쪽이 On Mode이면 Link Aggregation 사용 불가
2. Link Aggregation Protocol 필요성
- LACP를 사용하는 경우, Link Aggregation의 동일 Member의 모든 Partner 정보는 System-ID와 Key 값이 동일해야 정상 동작 가능
(1) Link Aggregation Without LACP
- 관리자가 Link Aggregation의 Link를 다른 장비에 잘못 연결해도 Link Aggregation이 정상 동작하며 트래픽을 Hashing Alogorithm 결과에 따라 Load Balancing하여 전송
(2) Link Aggregation With LACP
- 관리자가 Link Aggregation의 Link를 다른 장비에 잘못 연결할 경우, Partner의 System-ID가 다르므로 모든 인터페이스가 Link Aggregation의 Member에서 정상 동작이 불가능
'Network > Link Aggreg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CP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04.29 |
---|---|
Link Aggregation Configuration(Juniper vMX) (0) | 2025.04.27 |
LACP Configuration 정리(Juniper) (0) | 2025.04.25 |
LACP 동작 과정 (0) | 2025.04.23 |
LACP Header (0) | 2025.04.19 |
Introduction to PAGP (0) | 2025.04.17 |
PAGP Header (0) | 2025.04.15 |
Link Aggregation Load Balancing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