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I Configuration(Cisco IOL)

2025. 1. 23. 01:00·Network/VLAN
목차
  1. 1.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구성도
  2. 1)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구성도
  3. 2) 테스트 장비
  4. 2.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5. 1)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6. 2) 동일 Switch에서 동일 VLAN 통신 확인
  7. 3) 동일 Switch에서 다른 VLAN 통신 확인 
  8. 4) 서로 다른 Switch 간 동일 VLAN 통신 확인
  9. 5) 서로 다른 Switch 간 동일 VLAN 통신 확인 

1.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구성도

1)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구성도

 

2) 테스트 장비

  • Emulator : EVE-NG 
  • OS : Cisco IOL I86BI_LINUXL2-ADVENTERPRISEK9-M, Version 15.1c

 

 

2.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1)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 SW1 : VLAN 10 생성 >
SW1(config)#vlan 10   
SW1(config-vlan)#name VLAN10

< SW1 : VLAN 20 생성 >
SW1(config)#vlan 20
SW1(config-vlan)#name VLAN20

< SW1 : SVI VLAN 10 설정 >
SW1(config)#interface vlan 10
SW1(config-if)#ip address 10.0.0.1 255.255.255.0
SW1(config-if)#no shutdown 

< SW1 : SVI VLAN 20 설정 >
SW1(config)#interface vlan 20
SW1(config-if)#ip address 20.0.0.1 255.255.255.0
SW1(config-if)#no shutdown

< SW1 : e0/0 Trunk Mode 설정 >
SW1(config)#interface e0/0
SW1(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1(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W1(config-if)#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0,20

< SW1 : e0/1 Access Mode 설정 >
SW1(config)#interface e0/1
SW1(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1(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

< SW1 : e0/2 Access Mode 설정 >
SW1(config)#interface e0/2
SW1(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1(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
< SW2 : VLAN 10 생성 > 
SW2(config)#vlan 10
SW2(config-vlan)#name VLAN10

< SW2 : VLAN 20 생성 >
SW2(config)#vlan 20
SW2(config-vlan)#name VLAN20

< SW2 : e0/0 Trunk Mode 설정 >
SW2(config)#interface e0/0
SW2(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2(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W2(config-if)#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0,20

< SW2 : e0/1 Access Mode 설정 >
SW2(config)#interface e0/1
SW2(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2(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

< SW2 : e0/2 Access Mode 설정 >
SW2(config)#interface e0/2
SW2(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2(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20

 

SW1#show vlan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Et0/3
10   VLAN10                           active    Et0/1, Et0/2
20   VLAN20                           active    
~~~ 생략 ~~~
SW2#show vlan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Et0/3
10   VLAN10                           active    Et0/1
20   VLAN20                           active    Et0/2
~~~ 생략 ~~~
SW1#show interfaces trunk 

Port        Mode             Encapsulation  Status        Native vlan
Et0/0       on               802.1q         trunking      1

Port        Vlans allowed on trunk
Et0/0       10,20

Port        Vlans allowed and active in management domain
Et0/0       10,20

Port        Vlans in spanning tree forwarding state and not pruned
Et0/0       10,20
SW2#show interfaces trunk 

Port        Mode             Encapsulation  Status        Native vlan
Et0/0       on               802.1q         trunking      1

Port        Vlans allowed on trunk
Et0/0       10,20

Port        Vlans allowed and active in management domain
Et0/0       10,20

Port        Vlans in spanning tree forwarding state and not pruned
Et0/0       10,20

 

SW1#show ip route | begin Gateway
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

      10.0.0.0/8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0.0.0.0/24 is directly connected, Vlan10
L        10.0.0.1/32 is directly connected, Vlan10
      20.0.0.0/8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20.0.0.0/24 is directly connected, Vlan20
L        20.0.0.1/32 is directly connected, Vlan20
SW1#show mac address-table 
          Mac Address Table
-------------------------------------------

Vlan    Mac Address       Type        Ports
----    -----------       --------    -----
  10    0050.7966.6849    DYNAMIC     Et0/0
  10    0050.7966.684a    DYNAMIC     Et0/1
  10    0050.7966.684f    DYNAMIC     Et0/2
  20    0050.7966.684e    DYNAMIC     Et0/0
Total Mac Addresses for this criterion: 4

 

2) 동일 Switch에서 동일 VLAN 통신 확인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2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2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3) 동일 Switch에서 다른 VLAN 통신 확인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은 Frame에 존재하는 10번 Tag가 설정된 SVI가 있는지 확인하고 D-IP가 본인 SVI가 아님을 확인하고 라우팅 테이블에서 Longest Match Rule에 의해 매칭되는 Next-Hop인 VLAN 20 Interface 방향으로 VLAN 20 Interface에 설정한 20번 Tag를 추가하여 전송하고 FDB Table을 참고하여 전송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2에 설정한 2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2에 설정한 2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은 Frame에 존재하는 20번 Tag가 설정된 SVI가 있는지 확인하고 D-IP가 본인 SVI가 아님을 확인하고 라우팅 테이블에서 Longest Match Rule에 의해 매칭되는 Next-Hop인 VLAN 10 Interface 방향으로 VLAN 10 Interface에 설정한 10번 Tag를 추가하여 전송하고 FDB Table을 참고하여 전송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4) 서로 다른 Switch 간 동일 VLAN 통신 확인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5) 서로 다른 Switch 간 동일 VLAN 통신 확인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1은 Frame에 존재하는 10번 Tag가 설정된 SVI가 있는지 확인하고 D-IP가 본인 SVI가 아님을 확인하고 라우팅 테이블에서 Longest Match Rule에 의해 매칭되는 Next-Hop인 VLAN 20 Interface 방향으로 VLAN 20 Interface에 설정한 20번 Tag를 추가하여 전송하고 FDB Table을 참고하여 전송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2에 설정한 2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2에 설정한 2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은 Frame에 존재하는 20번 Tag가 설정된 SVI가 있는지 확인하고 D-IP가 본인 SVI가 아님을 확인하고 라우팅 테이블에서 Longest Match Rule에 의해 매칭되는 Next-Hop인 VLAN 10 Interface 방향으로 VLAN 10 Interface에 설정한 10번 Tag를 추가하여 전송하고 FDB Table을 참고하여 전송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Network > VL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VLAN Configuration(Juniper vQFX)  (0) 2025.04.05
Native VLAN Configuration(Juniper vQFX)  (0) 2025.04.03
Trunk Mode Configuration(Juniper vQFX)  (0) 2025.04.01
Access Mode Configuration(Juniper vQFX)  (0) 2025.03.30
Inter-VLAN Configuration(Cisco IOL)  (0) 2025.01.21
Native VLAN Configuration(Cisco IOL)  (0) 2025.01.19
Trunk Mode Configuration(Cisco IOL)  (0) 2025.01.17
Access Mode Configuration(Cisco IOL)  (0) 2025.01.15
  1. 1.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구성도
  2. 1)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구성도
  3. 2) 테스트 장비
  4. 2.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5. 1)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6. 2) 동일 Switch에서 동일 VLAN 통신 확인
  7. 3) 동일 Switch에서 다른 VLAN 통신 확인 
  8. 4) 서로 다른 Switch 간 동일 VLAN 통신 확인
  9. 5) 서로 다른 Switch 간 동일 VLAN 통신 확인 
'Network/VL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runk Mode Configuration(Juniper vQFX)
  • Access Mode Configuration(Juniper vQFX)
  • Inter-VLAN Configuration(Cisco IOL)
  • Native VLAN Configuration(Cisco IOL)
ant-choi의 네트워크
ant-choi의 네트워크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 입니다. 2024.08.26부터 새로운 버전으로 블로그를 개설하였습니다. 제가 스터디한 내용이나 회사에서 업무 진행 시,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하여 업로드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오류가 있거나 피드백이 있으신 분들은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겟습니다.
ant-choi의 네트워크안녕하세요. 네트워크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 입니다. 2024.08.26부터 새로운 버전으로 블로그를 개설하였습니다. 제가 스터디한 내용이나 회사에서 업무 진행 시,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하여 업로드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오류가 있거나 피드백이 있으신 분들은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겟습니다.
  • ant-choi의 네트워크
    ant-choi의 네트워크
    ant-choi의 네트워크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36) N
      • Network (119) N
        • Juniper Software (0)
        • Juniper Basic (7)
        • Emulator (24)
        • Network Basic (11)
        • ARP, ICMP (14)
        • VLAN (22)
        • STP (0)
        • VRRP (11)
        • Link Aggregation (10)
        • MC-LAG (0)
        • Switching, Routing Basic (15)
        • DHCP (5) N
        • OSPF (0)
        • BGP (0)
        • Routing Instance (0)
        • Issue (0)
      • Office (5)
        • Office 공통 (1)
        • Excel (1)
        • Power Point (1)
        • Word (2)
        • Outlook (0)
      • 기타 (12)
        • Windows (1)
        • Browser (4)
        • Tistory (7)
        • Notion (0)
        • Application (0)
  • 블로그 메뉴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ant-choi의 네트워크
    SVI Configuration(Cisco IOL)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