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구성도
1)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구성도
2) 테스트 장비
- Emulator : EVE-NG
- OS : Cisco IOL I86BI_LINUXL2-ADVENTERPRISEK9-M, Version 15.1c
2.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1)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Configuration
< SW1 : VLAN 10 생성 >
SW1(config)#vlan 10
SW1(config-vlan)#name VLAN10
< SW1 : VLAN 20 생성 >
SW1(config)#vlan 20
SW1(config-vlan)#name VLAN20
< SW1 : SVI VLAN 10 설정 >
SW1(config)#interface vlan 10
SW1(config-if)#ip address 10.0.0.1 255.255.255.0
SW1(config-if)#no shutdown
< SW1 : SVI VLAN 20 설정 >
SW1(config)#interface vlan 20
SW1(config-if)#ip address 20.0.0.1 255.255.255.0
SW1(config-if)#no shutdown
< SW1 : e0/0 Trunk Mode 설정 >
SW1(config)#interface e0/0
SW1(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1(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W1(config-if)#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0,20
< SW1 : e0/1 Access Mode 설정 >
SW1(config)#interface e0/1
SW1(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1(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
< SW1 : e0/2 Access Mode 설정 >
SW1(config)#interface e0/2
SW1(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1(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
< SW2 : VLAN 10 생성 >
SW2(config)#vlan 10
SW2(config-vlan)#name VLAN10
< SW2 : VLAN 20 생성 >
SW2(config)#vlan 20
SW2(config-vlan)#name VLAN20
< SW2 : e0/0 Trunk Mode 설정 >
SW2(config)#interface e0/0
SW2(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2(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W2(config-if)#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0,20
< SW2 : e0/1 Access Mode 설정 >
SW2(config)#interface e0/1
SW2(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2(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
< SW2 : e0/2 Access Mode 설정 >
SW2(config)#interface e0/2
SW2(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2(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20
SW1#show vlan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Et0/3
10 VLAN10 active Et0/1, Et0/2
20 VLAN20 active
~~~ 생략 ~~~
SW2#show vlan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Et0/3
10 VLAN10 active Et0/1
20 VLAN20 active Et0/2
~~~ 생략 ~~~
SW1#show interfaces trunk
Port Mode Encapsulation Status Native vlan
Et0/0 on 802.1q trunking 1
Port Vlans allowed on trunk
Et0/0 10,20
Port Vlans allowed and active in management domain
Et0/0 10,20
Port Vlans in spanning tree forwarding state and not pruned
Et0/0 10,20
SW2#show interfaces trunk
Port Mode Encapsulation Status Native vlan
Et0/0 on 802.1q trunking 1
Port Vlans allowed on trunk
Et0/0 10,20
Port Vlans allowed and active in management domain
Et0/0 10,20
Port Vlans in spanning tree forwarding state and not pruned
Et0/0 10,20
SW1#show ip route | begin Gateway
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
10.0.0.0/8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0.0.0.0/24 is directly connected, Vlan10
L 10.0.0.1/32 is directly connected, Vlan10
20.0.0.0/8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20.0.0.0/24 is directly connected, Vlan20
L 20.0.0.1/32 is directly connected, Vlan20
SW1#show mac address-table
Mac Address Table
-------------------------------------------
Vlan Mac Address Type Ports
---- ----------- -------- -----
10 0050.7966.6849 DYNAMIC Et0/0
10 0050.7966.684a DYNAMIC Et0/1
10 0050.7966.684f DYNAMIC Et0/2
20 0050.7966.684e DYNAMIC Et0/0
Total Mac Addresses for this criterion: 4
2) 동일 Switch에서 동일 VLAN 통신 확인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2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2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3) 동일 Switch에서 다른 VLAN 통신 확인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은 Frame에 존재하는 10번 Tag가 설정된 SVI가 있는지 확인하고 D-IP가 본인 SVI가 아님을 확인하고 라우팅 테이블에서 Longest Match Rule에 의해 매칭되는 Next-Hop인 VLAN 20 Interface 방향으로 VLAN 20 Interface에 설정한 20번 Tag를 추가하여 전송하고 FDB Table을 참고하여 전송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2에 설정한 2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2에 설정한 2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은 Frame에 존재하는 20번 Tag가 설정된 SVI가 있는지 확인하고 D-IP가 본인 SVI가 아님을 확인하고 라우팅 테이블에서 Longest Match Rule에 의해 매칭되는 Next-Hop인 VLAN 10 Interface 방향으로 VLAN 10 Interface에 설정한 10번 Tag를 추가하여 전송하고 FDB Table을 참고하여 전송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4) 서로 다른 Switch 간 동일 VLAN 통신 확인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1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5) 서로 다른 Switch 간 동일 VLAN 통신 확인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1은 Frame에 존재하는 10번 Tag가 설정된 SVI가 있는지 확인하고 D-IP가 본인 SVI가 아님을 확인하고 라우팅 테이블에서 Longest Match Rule에 의해 매칭되는 Next-Hop인 VLAN 20 Interface 방향으로 VLAN 20 Interface에 설정한 20번 Tag를 추가하여 전송하고 FDB Table을 참고하여 전송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2에 설정한 2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 SW2의 Access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2에 설정한 20번 Tag를 Frame에 추가
- SW2의 Trunk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의 Trunk Mode인 포트로 Import할 때, e0/0에 설정한 20번 Tag가 Frame에 존재하므로 Tag 유지
- SW1은 Frame에 존재하는 20번 Tag가 설정된 SVI가 있는지 확인하고 D-IP가 본인 SVI가 아님을 확인하고 라우팅 테이블에서 Longest Match Rule에 의해 매칭되는 Next-Hop인 VLAN 10 Interface 방향으로 VLAN 10 Interface에 설정한 10번 Tag를 추가하여 전송하고 FDB Table을 참고하여 전송
- SW1의 Access Mode인 포트로 Export할 때, e0/1에 설정한 10번 Tag를 Frame에서 제거
'Network > VL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VLAN Configuration(Juniper vQFX) (0) | 2025.04.05 |
---|---|
Native VLAN Configuration(Juniper vQFX) (0) | 2025.04.03 |
Trunk Mode Configuration(Juniper vQFX) (0) | 2025.04.01 |
Access Mode Configuration(Juniper vQFX) (0) | 2025.03.30 |
Inter-VLAN Configuration(Cisco IOL) (0) | 2025.01.21 |
Native VLAN Configuration(Cisco IOL) (0) | 2025.01.19 |
Trunk Mode Configuration(Cisco IOL) (0) | 2025.01.17 |
Access Mode Configuration(Cisco IOL) (0) | 2025.01.15 |